Nuvoton Cortex-M0 관련 Writer/Debug 호환 Tool
잘 된다.
'공부 > 만든것들' 카테고리의 다른 글
WIZFI210 to RS485 (0) | 2013.04.30 |
---|---|
STM8S TEST 보드 (0) | 2013.04.30 |
중계기 컨트롤러 (0) | 2013.04.30 |
RF 리모콘 (0) | 2013.04.30 |
STLINK (0) | 2013.04.30 |
Nuvoton Cortex-M0 관련 Writer/Debug 호환 Tool
잘 된다.
WIZFI210 to RS485 (0) | 2013.04.30 |
---|---|
STM8S TEST 보드 (0) | 2013.04.30 |
중계기 컨트롤러 (0) | 2013.04.30 |
RF 리모콘 (0) | 2013.04.30 |
STLINK (0) | 2013.04.30 |
GRUB 으로 bootting 이 안되는 PC를 발견했다.
그래서 해결 방법을 찾다 아래 사이트를 찾았다.
SARDU 라는 프로그램 이다.
http://blog.naver.com/3comsys?Redirect=Log&logNo=60186821334
다운받는곳
http://www.sarducd.it/downloads.html
참고로 HP format tool
http://www.softpedia.com/get/System/Hard-Disk-Utils/HP-USB-Disk-Storage-Format-Tool.shtml
사용방법
사용하고자 하는 디렉토리를 설정하고 쓰고자 하는 iso 파일을 SARDU 에서 지원하는 형태의 이름으로
정하고 USB 를 정확하게 선택하고 Bilid on USB with muiltiboot 를 선택하면 된다.
<2014-03-15>
추가된 내용 YUMI 로 멀티 부팅 USB 만들기
http://www.pendrivelinux.com/yumi-multiboot-usb-creator/
무료 AutoCAD 호환 프로그램 (0) | 2013.05.07 |
---|---|
Hex to Bin 64bit 지원 (0) | 2013.05.03 |
USB boot (Hiren BootCD) (0) | 2013.04.23 |
시리얼통신분석 프로그램 PPA 5.0 (0) | 2013.04.13 |
간단한 TCP/IP TEST 프로그램 (0) | 2013.04.13 |
NUC200 양산 또는 별도로 Write 하고 싶다면 NU-LINK 와 ICP Programming Tool 을 사용 해야 한다.
첫화면에서 언어와 사용하고자 하는 Chip종류를 설정한다.
NUC200 의 부트로더 설정법 (0) | 2014.01.22 |
---|---|
NUC200의 ADC 문제점 (0) | 2013.07.15 |
NUC200 IAR 설정 (0) | 2013.04.29 |
NUC200 기본 회로 (0) | 2013.04.29 |
NUC200용 JTAG NULINK (0) | 2013.04.24 |
NUC200 IAR 과 연결하기
NUC200 기본 프로젝트를 이용해서 IAR에서 사용을 해보겠다.
중요한 것은 IAR에서 NUC200과 디버깅등을 연결하기 위해 먼저 이전 글에서 소개 한적 있는
NU-LINK Driver 를 설치 해야 한다.
Nu-Link Driver
| This driver is to support Nu-Link recognized by Keil RVMDK Development Environment and support all NuMicro Family Devices selectable. | V1.21.5905 | 12-27-2012 |
This driver is to support Nu-Link recognized by IAR EWARM Development Environment and support all NuMicro Family Devices selectable. | V1.21.5905 | 12-27-2012 |
이후 프로젝트를 읽어오면 아래처럼 된다.
여기서 몇가지 옵션을 변경해야 하는데 프로젝트 옵션에 들어가면
디버거에 Third-Party Driver 에 설정값을 내가 인스톨한 디렉토리로 변경하는 것이다.
그 외에 Linker 에 icf 파일을 살펴 보면 아래와 같이 되어 있는데 HEAP 사이즈가 0으로 되어 있다. 즉 malloc 등의 함수를 사용할 수 없다. 프로그램중에 에러가 나면 용량을 조절해야 한다.
/*###ICF### Section handled by ICF editor, don't touch! ****/ /*-Editor annotation file-*/ /* IcfEditorFile="$TOOLKIT_DIR$\config\ide\IcfEditor\cortex_v1_0.xml" */ /*-Specials-*/ define symbol __ICFEDIT_intvec_start__ = 0x00000000; /*-Memory Regions-*/ define symbol __ICFEDIT_region_ROM_start__ = 0x00000000; define symbol __ICFEDIT_region_ROM_end__ = 0x00010000; define symbol __ICFEDIT_region_RAM_start__ = 0x20000000; define symbol __ICFEDIT_region_RAM_end__ = 0x20000FFF; /*-Sizes-*/ define symbol __ICFEDIT_size_cstack__ = 0x200; define symbol __ICFEDIT_size_heap__ = 0x0; /**** End of ICF editor section. ###ICF###*/
define memory mem with size = 4G; define region ROM_region = mem:[from __ICFEDIT_region_ROM_start__ to __ICFEDIT_region_ROM_end__]; define region RAM_region = mem:[from __ICFEDIT_region_RAM_start__ to __ICFEDIT_region_RAM_end__];
define block CSTACK with alignment = 8, size = __ICFEDIT_size_cstack__ { }; define block HEAP with alignment = 8, size = __ICFEDIT_size_heap__ { };
initialize by copy { readwrite }; do not initialize { section .noinit };
place at address mem:__ICFEDIT_intvec_start__ { readonly section .intvec };
place in ROM_region { readonly }; place in RAM_region { readwrite, block CSTACK, block HEAP }; |
컴파일 해서 디버깅해보니 잘 된다.
아쉬운 것은 SWO 를 사용하지 못하기 때문에 Error 메시지등을 SWO를 이용해 볼수 없다는 점이다.
그래도 이 정도면 아주 쓸만한 것 같다.
NUC200의 ADC 문제점 (0) | 2013.07.15 |
---|---|
Nucoton NuMicro ICP Programming Tool 사용 (0) | 2013.04.29 |
NUC200 기본 회로 (0) | 2013.04.29 |
NUC200용 JTAG NULINK (0) | 2013.04.24 |
NUC200의 특징 (0) | 2013.04.23 |
Nucoton NuMicro ICP Programming Tool 사용 (0) | 2013.04.29 |
---|---|
NUC200 IAR 설정 (0) | 2013.04.29 |
NUC200용 JTAG NULINK (0) | 2013.04.24 |
NUC200의 특징 (0) | 2013.04.23 |
NUC200 PLL 관련 (0) | 2013.04.22 |
케페시터 특성
http://blog.daum.net/cityhero/8848058\
세라믹 C용량 정리
http://blog.naver.com/PostView.nhn?blogId=gooni92&logNo=50082702848
파워 관련 전문 회사 (0) | 2013.07.22 |
---|---|
방열판 참고 구매 사이트 (0) | 2013.07.22 |
MCU 참고 회로 (0) | 2013.04.04 |
많이 쓰지만 잘 까먹는 FET 구동회로(LED 드라이버) (0) | 2013.04.04 |
WIZFI210 AP 모드 문제 발생 (0) | 2013.02.28 |
NULINK 관련 회로도와 거버 파일을 올려본다.
물론 내가 편리하게 사용할수 있도록 수정을 했다.
원본은 NUVOTON 사이트에서 받았다.
- 어레이 저항을 4개의 저항으로 변경
- 디버거용 커넥터 Molex 헤더 추가
- USB 커넥터 USB Btype 으로 변경
- USB 쪽 헤더 PIN 삭제
NUC200 IAR 설정 (0) | 2013.04.29 |
---|---|
NUC200 기본 회로 (0) | 2013.04.29 |
NUC200의 특징 (0) | 2013.04.23 |
NUC200 PLL 관련 (0) | 2013.04.22 |
NUC200 - 따끈따끈 (0) | 2013.04.22 |
Atmel 쪽을 요즘 사용을 안하다보니 신규 디버거나 나왔는지는 모르고 있었다.
품명은 Jtagice3
관련 홈페이지: http://www.atmel.com/tools/JTAGICE3.aspx
그래서 살펴보니 거의 모든 Ateml 에서 나온 CPU를 사용할수 있고 기존의 ISP 와 JTAG 을 지원한다.
가격은 약 15만원 부과세 포함해서 17만원 정도 전기적인 안정성이 어떤지 모르겠으나 기존의
JLINK MKII 를 사용하는 것보다는 편리할것 같다.
단 사용은 위해서는 studio 6 를 사용해야 하는듯 ~~
이쁘게 생겼네~~
[ATMEGA128] 11. EEPROM (0) | 2012.11.09 |
---|---|
[ATMEGA128] 10. ADC (0) | 2012.11.09 |
[ATMEGA128] 9. TWI (I2C) (0) | 2012.11.09 |
[ATMEGA128] 8.SPI (0) | 2012.11.09 |
[ATMEGA128] 7.USART (0) | 2012.11.09 |